피클볼 코트 규격과 장비 가이드

피클볼은 1965년 미국 워싱턴주 베인브리지 아일랜드에서 시작된 라켓 스포츠로, 테니스와 배드민턴, 탁구의 요소를 결합한 독특한 경기입니다. 코트 규격과 장비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경기력 향상과 규정 준수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피클볼 코트는 배드민턴 코트와 동일한 크기로 설계되어 있으며, 특별한 구역 구분과 네트 높이 규정이 있습니다. USA 피클볼 협회(USAPA)와 국제피클볼연맹(IFP)에서 제정한 공식 규격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클볼 코드 규정


피클볼 코트 규격과 구역 설명

피클볼 코트의 전체 크기는 길이 44피트(13.41m), 폭 20피트(6.10m)로 정확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배드민턴 복식 코트와 정확히 동일한 규격으로, 기존 배드민턴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코트는 네트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동일하게 나뉘며, 각 사이드는 22피트(6.71m)의 길이를 가집니다. 코트의 각 구역은 특별한 목적과 규칙을 가지고 있어 경기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코트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논발리 존(Non-Volley Zone)으로, 네트에서 7피트(2.13m) 떨어진 구역입니다. 이 구역은 양쪽 코트에 동일하게 존재하며, 폭은 코트 전체 폭인 20피트입니다. 논발리 존은 '키친(Kitchen)'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며, 이 구역 안에서는 발리가 금지되어 있습니다. 선수들은 이 구역에서 공이 바운드된 후에만 타격할 수 있으며, 발리를 하려면 반드시 이 구역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서비스 구역은 논발리 존 뒤쪽에 위치하며, 센터라인에 의해 좌우로 나뉩니다. 각 서비스 구역의 크기는 길이 15피트(4.57m), 폭 10피트(3.05m)입니다. 오른쪽 서비스 구역은 짝수 코트(Even Court), 왼쪽 서비스 구역은 홀수 코트(Odd Court)로 불립니다. 서비스는 항상 대각선 방향의 서비스 구역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버의 위치는 점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경기장 면적에 따른 용도별 코트 규격도 다양합니다. 신규 건설 시에는 최소 34피트 x 64피트(10.36m x 19.5m)의 공간이 필요하며, 토너먼트 경기용 코트는 동일한 크기를 권장합니다. 휠체어 경기를 위해서는 44피트 x 74피트(13.41m x 22.5m)의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스타디움 코트의 경우 50피트 x 80피트(15.24m x 24.38m)의 여유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피클볼 코트 구역별 치수표

구역명 길이 특징
전체 코트 44ft (13.41m) 20ft (6.10m) 배드민턴 복식 코트와 동일
논발리 존 7ft (2.13m) 20ft (6.10m) 네트 양쪽, 발리 금지 구역
서비스 구역 15ft (4.57m) 10ft (3.05m) 좌우 각 2개 구역

 

코트 표면 재질도 경기의 질과 안전성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실내 코트는 주로 우드, 합성 표면, 고무 재질을 사용하며, 실외 코트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인조 잔디를 활용합니다. 각 표면은 공의 바운드 특성과 선수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므로, 경기 스타일에 맞는 표면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는 생각했을 때 초보자들에게는 충격 흡수가 좋은 쿠션 코트가 관절 보호에 유리합니다.

 코트 색상 규정도 명확하게 정해져 있습니다. 경기 구역과 논발리 존은 시각적으로 구분이 가능하도록 대비되는 색상을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코트는 파란색이나 녹색을, 논발리 존은 밝은 색상을 사용합니다. 라인은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 표시하며, 폭은 2인치(5.08cm)로 통일됩니다. 실외 코트의 경우 햇빛 반사를 고려하여 무광 처리된 페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라인과 구역의 종류와 역할

피클볼 코트의 라인 시스템은 경기 진행과 규칙 적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베이스라인(Baseline)은 코트의 양 끝에 위치한 경계선으로, 네트와 평행하게 그어집니다. 이 라인은 서비스 시 서버가 위치해야 하는 기준선이며, 경기 중 코트의 후방 경계를 나타냅니다. 베이스라인 뒤쪽으로 발을 딛고 서비스를 넣어야 하며, 서비스 동작 중 라인을 밟거나 넘어서면 풋 폴트가 선언됩니다.

 사이드라인(Sideline)은 코트의 좌우 경계를 나타내는 수직선입니다. 복식 경기와 단식 경기 모두 동일한 사이드라인을 사용하며, 테니스와 달리 별도의 단식 사이드라인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공이 사이드라인 위에 떨어지면 인(In)으로 판정되며, 라인의 일부라도 닿으면 유효한 타구로 인정됩니다. 사이드라인은 서비스 리시브 구역의 경계도 함께 형성합니다.

 논발리 존 라인(Non-Volley Zone Line)은 네트에서 7피트 떨어진 위치에 네트와 평행하게 그어진 선입니다. 이 라인은 피클볼의 가장 특징적인 규칙을 적용하는 경계선으로, 선수들은 이 라인 안에서 발리를 할 수 없습니다. 발리 동작 중 이 라인을 밟거나 넘어서면 폴트가 선언되며, 발리 후 관성에 의해 논발리 존에 들어가는 것도 폴트로 처리됩니다. 논발리 존 라인은 사이드라인까지 연장되어 완전한 직사각형 구역을 형성합니다.

 센터라인(Centerline)은 네트 양쪽의 코트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선입니다. 이 라인은 베이스라인에서 시작하여 논발리 존 라인까지 연장되며, 서비스 구역을 좌우로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센터라인은 서비스 코트의 경계를 명확히 하여 대각선 서비스 규칙을 적용하는 기준이 됩니다. 복식 경기에서 파트너 간의 포지션 설정에도 중요한 참고선이 됩니다.

라인별 규격과 기능 정리표

라인 종류 위치 주요 기능
베이스라인 코트 양 끝 2인치(5.08cm) 서비스 위치 기준
사이드라인 코트 좌우 2인치(5.08cm) 좌우 경계 표시
논발리 존 라인 네트에서 7ft 2인치(5.08cm) 발리 금지 구역 경계
센터라인 코트 중앙 수직 2인치(5.08cm) 서비스 구역 구분

 

서비스 코트(Service Court)는 논발리 존 뒤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센터라인에 의해 좌우로 나뉩니다. 오른쪽 코트는 짝수 점수일 때, 왼쪽 코트는 홀수 점수일 때 서비스를 넣는 위치입니다. 서비스는 반드시 대각선 방향의 서비스 코트로 넣어야 하며, 네트를 넘어 상대편 서비스 코트 안에 떨어져야 유효합니다. 서비스 코트의 모든 라인은 인(In)으로 판정되므로, 라인 위에 떨어진 서비스도 유효합니다.

 라인 마킹 시 주의사항도 중요합니다. 모든 라인은 2인치(5.08cm)의 균일한 폭으로 그어져야 하며, 직선성과 수직/수평을 정확히 유지해야 합니다. 실내 코트는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닥과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실외 코트는 내구성 있는 페인트를 사용하며, 정기적인 재도색이 필요합니다. 라인의 색상은 코트 표면과 명확히 구분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흰색이나 노란색을 사용합니다.

 임시 코트 설치 시에는 휴대용 라인 마킹 키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체육관이나 다목적 코트에서는 분필이나 임시 테이프를 사용하여 라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야외 잔디 코트에서는 스프레이 페인트나 라인 마커를 활용합니다. 임시 라인도 공식 규격을 준수해야 하며, 경기 중 라인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트 규격과 설치 기준

피클볼 네트는 경기의 핵심 장비로서 엄격한 규격을 따라야 합니다. 네트의 전체 길이는 최소 21피트 9인치(6.63m)에서 22피트(6.71m) 사이여야 하며, 이는 코트 폭인 20피트보다 길어 사이드라인 밖까지 연장됩니다. 네트의 높이는 사이드라인에서 36인치(91.44cm), 센터에서 34인치(86.36cm)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높이 차이는 네트의 자연스러운 처짐을 고려한 것으로, 중앙부가 약간 낮은 형태를 유지합니다.

 네트 포스트(Net Post)는 네트를 지지하는 기둥으로, 사이드라인에서 최대 12인치(30.48cm) 바깥쪽에 설치됩니다. 포스트의 높이는 네트 상단보다 최소 3인치(7.62cm) 이상 높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42인치(106.68cm) 이상으로 제작됩니다. 포스트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며, 경기 중 네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휴대용 네트 시스템의 경우 베이스의 무게가 충분해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네트의 재질과 구조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네트는 일반적으로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터 소재로 제작되며, 그물망의 크기는 공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촘촘해야 합니다. 메시 크기는 일반적으로 3/4인치에서 1인치 사이입니다. 네트의 상단에는 2인치(5.08cm) 폭의 흰색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이 테이프 안에는 케이블이나 코드가 들어가 네트의 형태를 유지합니다. 하단에도 보강 테이프가 있어 네트의 내구성을 높입니다.

 네트 높이 측정과 조정 방법은 정확한 경기 환경 조성에 필수적입니다. 공식 경기에서는 네트 높이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센터 스트랩(Center Strap)을 사용하여 네트 중앙부의 높이를 34인치로 조정하며, 이 스트랩은 네트 하단을 코트 표면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양쪽 사이드라인에서의 높이는 36인치를 유지해야 하며, 필요시 포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를 사용합니다.

네트 규격 상세 정보표

항목 규격 허용 오차 비고
네트 길이 22ft (6.71m) 최소 21ft 9in 사이드라인 밖까지 연장
중앙 높이 34in (86.36cm) ±0.25in 센터 스트랩으로 조정
사이드 높이 36in (91.44cm) ±0.25in 사이드라인 위치
상단 테이프 폭 2in (5.08cm) - 흰색 필수

 

네트 설치 시 고려사항으로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있습니다. 실외 코트의 경우 바람에 의한 네트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 가중 체인이나 추가 고정 장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트의 장력은 공이 네트에 맞았을 때 적절한 반발력을 제공할 정도로 팽팽해야 하지만, 과도한 장력은 네트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점검과 조정을 통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휴대용 네트 시스템은 임시 코트나 다목적 시설에서 유용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며, 보관과 운반이 용이합니다. 휴대용 시스템도 공식 규격을 준수해야 하며, 특히 베이스의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모래를 채워 무게를 늘리는 방식을 사용하며, 바퀴가 달린 모델은 이동이 편리합니다. 설치 후에는 반드시 높이와 장력을 확인해야 합니다.

 네트 유지보수는 장비의 수명과 경기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실외 네트는 자외선과 날씨에 노출되므로 UV 저항성이 있는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기적으로 네트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찢어진 부분이나 느슨해진 부분을 즉시 수리해야 합니다. 시즌 종료 후에는 네트를 깨끗이 청소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며, 포스트와 부속품도 함께 점검합니다.


공의 규격과 선택 기준

피클볼 공은 경기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장비로, 실내용과 실외용으로 구분됩니다. 공식 규격에 따르면 공의 지름은 2.87인치(7.29cm)에서 2.97인치(7.54cm) 사이여야 하며, 무게는 0.78온스(22.1g)에서 0.935온스(26.5g)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공은 단단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며, 표면에는 26개에서 40개의 원형 홀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홀은 공의 비행 특성과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실내용 공(Indoor Ball)은 일반적으로 26개의 큰 홀을 가지고 있으며, 실외용보다 가볍고 부드럽습니다. 홀의 크기가 크고 개수가 적어 공기 저항이 적으며, 이로 인해 비행 속도가 빠르고 바운드가 높습니다. 실내용 공은 주로 체육관이나 실내 코트에서 사용되며,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부드러운 재질로 인해 타격 시 소음이 적고, 초보자들이 컨트롤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외용 공(Outdoor Ball)은 40개의 작은 홀을 가지고 있으며, 실내용보다 무겁고 단단합니다. 작은 홀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바람의 영향을 덜 받으며, 안정적인 비행 궤적을 유지합니다. 실외용 공은 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타격 시 더 큰 충격이 전달됩니다. 바운드가 낮고 속도가 빠르며, 스핀의 영향을 덜 받는 특성이 있습니다. 경쟁적인 토너먼트에서는 주로 실외용 공을 사용합니다.

 공의 색상 선택도 경기 환경에 따라 중요합니다. USAPA와 IFP 승인 공은 단일 균일한 색상이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노란색, 주황색, 흰색이 사용됩니다. 실내에서는 밝은 노란색이나 주황색이 시인성이 좋고, 실외에서는 배경과 대비가 되는 색상을 선택합니다. 야간 경기나 조명이 있는 코트에서는 형광색 공을 사용하기도 하며, 일부 제조사는 UV 반응 공을 제작하여 특수 조명 아래에서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합니다.


실내용과 실외용 공 비교표

구분 실내용 실외용 용도
홀 개수 26개 40개 공기 저항 조절
홀 크기 크다 작다 비행 특성 결정
무게 가볍다 무겁다 안정성과 속도
재질 경도 부드럽다 단단하다 내구성과 타격감

 

공의 품질 기준과 승인 절차는 공정한 경기를 보장합니다. USAPA와 IFP는 엄격한 테스트를 통해 공을 승인하며, 승인된 공은 공식 목록에 등재됩니다. 테스트 항목에는 크기, 무게, 경도, 바운드 높이, 비행 특성 등이 포함됩니다. 공식 토너먼트에서는 반드시 승인된 공을 사용해야 하며, 주최 측에서 지정한 특정 브랜드나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승인 마크가 있는 공은 일관된 품질과 성능을 보장합니다.

 공의 수명과 교체 시기 판단도 중요합니다. 피클볼 공은 사용 빈도와 환경에 따라 마모 속도가 다릅니다. 실외용 공은 거친 표면과 강한 타격으로 인해 더 빨리 마모되며, 균열이나 변형이 발생하면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홀 주변에 균열이 생기거나 공의 둥근 형태가 변형되면 비행 특성이 달라져 경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주 2-3회 경기 시 3-4개월마다 공을 교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온도와 습도가 공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낮은 온도에서는 플라스틱이 경화되어 깨지기 쉽고, 높은 온도에서는 연화되어 변형될 수 있습니다. 극한의 온도에서는 공의 바운드 특성이 크게 달라지므로, 경기 전 충분한 워밍업이 필요합니다. 보관 시에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상온에서 보관하며, 습기가 많은 환경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용 공은 별도로 보관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합니다.


패들 규격과 장비 특징

피클볼 패들은 선수의 경기력을 좌우하는 핵심 장비로, USA 피클볼 협회의 엄격한 규격을 준수해야 합니다. 패들의 전체 길이는 24인치(60.96cm)를 초과할 수 없으며, 폭은 17인치(43.18cm)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길이와 폭을 합친 값이 24인치를 초과해서는 안 되는 추가 제한도 있습니다. 이러한 규격은 패들의 크기를 적절히 제한하여 경기의 공정성을 유지하고, 과도한 리치 이점을 방지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패들의 타격 표면에는 엄격한 규정이 적용됩니다. 표면은 평평해야 하며, 구멍, 움푹 들어간 곳, 거친 질감, 테이프 또는 기타 부착물이 없어야 합니다. 반사 방지 처리나 페인트는 허용되지만, 공에 추가적인 스핀을 가할 수 있는 어떤 물질도 부착할 수 없습니다. 표면의 거칠기는 제한되어 있으며, 과도한 스핀을 생성할 수 있는 표면 처리는 금지됩니다. 이는 기술과 전략이 장비의 특수 기능보다 우선시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패들의 재질은 다양하며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집니다. 초기 패들은 주로 목재로 제작되었으나, 현재는 복합 재료, 그래파이트, 탄소 섬유, 알루미늄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됩니다. 목재 패들은 저렴하고 내구성이 좋지만 무겁고 파워가 부족합니다. 복합 재료 패들은 가볍고 파워와 컨트롤의 균형이 좋으며, 그래파이트 패들은 매우 가볍고 반응이 빠릅니다. 탄소 섬유 패들은 최고급 소재로 가볍고 강하며 진동 흡수가 뛰어납니다.

 패들의 코어(Core) 구조는 타격감과 소음 수준을 결정합니다. 폴리머 코어는 가장 조용하고 부드러운 타격감을 제공하며, 초보자와 중급자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노맥스(Nomex) 코어는 단단하고 파워풀하지만 소음이 크며, 알루미늄 코어는 가볍고 반응이 빠르지만 컨트롤이 어렵습니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코어도 개발되어 여러 소재의 장점을 결합하고 있습니다. 코어의 두께도 중요한데, 두꺼운 코어는 컨트롤이 좋고 얇은 코어는 파워가 강합니다.

패들 소재별 특성 비교표

소재 무게 파워 컨트롤 가격대
목재 무겁다 낮음 보통 저렴
복합재료 중간 중간 좋음 중간
그래파이트 가볍다 높음 매우 좋음 높음
탄소섬유 매우 가볍다 매우 높음 우수 매우 높음

 

패들의 무게 선택은 개인의 체력과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결정됩니다. 가벼운 패들(6-7.3온스)은 빠른 반응과 컨트롤이 좋아 네트 플레이와 빠른 볼리에 유리합니다. 중간 무게 패들(7.3-8.4온스)은 파워와 컨트롤의 균형이 좋아 대부분의 선수에게 적합합니다. 무거운 패들(8.5온스 이상)은 강한 파워를 제공하지만 장시간 사용 시 피로도가 높습니다. 초보자는 중간 무게로 시작하여 경험을 쌓은 후 자신에게 맞는 무게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그립 크기와 형태도 중요한 선택 요소입니다. 그립 둘레는 일반적으로 4인치에서 4.5인치 사이이며, 손 크기에 맞는 그립을 선택해야 합니다. 너무 작은 그립은 과도한 손목 움직임을 유발하고, 너무 큰 그립은 섬세한 컨트롤을 어렵게 만듭니다. 오버그립이나 교체 그립을 사용하여 크기와 감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쿠션 그립은 충격 흡수가 좋고, 태키 그립은 미끄럼 방지 효과가 뛰어납니다. 정기적인 그립 교체는 최적의 성능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패들 선택 시 엣지 가드(Edge Guard)의 유무도 고려해야 합니다. 엣지 가드는 패들 가장자리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높이지만, 무게가 증가하고 스윗 스폿이 약간 줄어듭니다. 엣지 가드가 없는 패들은 더 가볍고 타격 면적이 넓지만, 가장자리 손상에 취약합니다.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이나 초보자는 엣지 가드가 있는 패들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섬세한 컨트롤을 원하는 상급자는 엣지 가드가 없는 패들을 선호합니다.


FAQ

Q1. 피클볼 코트를 임시로 설치할 때 필요한 최소 공간은 얼마인가요?

A1. 임시 피클볼 코트 설치에는 최소 30피트 x 60피트(9.14m x 18.29m)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이는 코트 크기 44피트 x 20피트에 안전 구역을 포함한 것입니다. 체육관이나 테니스 코트를 활용할 경우 테이프나 임시 라인 마커로 표시할 수 있으며, 네트 높이만 조정하면 됩니다. 야외 주차장이나 농구 코트도 활용 가능합니다.

 

Q2. 실내용과 실외용 피클볼 공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인가요?

A2. 홀의 개수와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간단합니다. 실내용은 26개의 큰 홀이, 실외용은 40개의 작은 홀이 있습니다. 실내용은 손으로 눌렀을 때 약간 유연하고 가벼우며, 실외용은 단단하고 무겁습니다. 색상도 차이가 있는데, 실내용은 주로 밝은 노란색, 실외용은 네온 그린이나 주황색이 많습니다.

 

Q3. 피클볼 패들 선택 시 초보자가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요?

A3. 초보자는 무게와 그립 크기를 우선 고려해야 합니다. 7.5-8.0온스의 중간 무게 패들이 적합하며, 그립은 손바닥에서 중지 끝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선택합니다. 폴리머 코어의 복합재료 패들이 컨트롤과 편안함이 좋아 추천됩니다. 가격은 중급 제품(50-100달러)으로 시작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Q4. 논발리 존(키친)에서 실수로 발을 디뎠을 때 어떤 규칙이 적용되나요?

A4. 발리 동작 중 논발리 존 라인을 밟거나 구역 안에 들어가면 즉시 폴트가 선언되어 상대방에게 점수가 주어집니다. 발리 후 관성에 의해 들어가는 것도 폴트입니다. 단, 공이 바운드된 후에는 논발리 존에 들어가서 타격할 수 있습니다. 휠체어 선수의 경우 앞바퀴가 기준이 됩니다.

 

Q5. 피클볼 네트 높이가 중앙과 사이드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A5. 네트의 자연스러운 처짐을 고려한 설계입니다. 중앙 34인치, 사이드 36인치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테니스와 유사한 원리입니다. 중앙이 낮아 공격적인 플레이가 가능하고, 전략적 다양성을 제공합니다. 센터 스트랩으로 중앙 높이를 정확히 조절하며, 이는 경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Q6. 공식 토너먼트에서 사용 가능한 패들과 공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A6. USA 피클볼 협회(USAPA) 웹사이트에서 승인 장비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승인된 패들은 제조사명, 모델명과 함께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 공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승인 제품에는 USAPA 승인 마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토너먼트마다 특정 공을 지정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면책 조항: 본 문서에 제공된 피클볼 코트 규격과 장비 정보는 2025년 1월 기준 USA 피클볼 협회(USAPA)와 국제피클볼연맹(IFP)의 공식 규정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규정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식 경기 참가 시 최신 규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장비 선택과 코트 설치에 관한 내용은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며, 개인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시기를 권장합니다.


댓글 쓰기